가자 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자 마다는 14세기 마자파힛 제국의 마하파티(재상)로, 코끼리를 뜻하는 '가자'와 '술 취한'을 의미하는 '마다'의 합성어로 이름 지어졌다. 그는 자야네가라 왕을 구출하고 반란을 진압하는 데 기여했으며, 트리부와나퉁가데위 여왕 치세에 마하파티로 임명된 후, 팔라파 선서를 통해 누산타라 제도의 통일을 목표로 제국을 확장했다. 1357년 부밧 전투 이후 강등되어 생을 마감했으며, 그의 유산은 인도네시아 민족주의에 영향을 미쳐, 대학교, 위성, 군 부대 명칭 등에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64년 사망 - 장 2세 (프랑스)
장 2세는 백년 전쟁 중 잉글랜드군에 포로로 잡혔으며, 브레티니 조약에 따른 몸값 지불을 거부하고 런던에서 사망한 프랑스의 국왕이다. - 1364년 사망 - 고곤 천황
고곤 천황은 고후시미 천황의 아들로 태어나 고다이고 천황의 막부 타도 계획 실패 후 즉위했으나 폐위되었고, 이후 동생 고묘 천황을 즉위시킨 뒤 남조에 납치되었다가 선불교에 귀의하여 수행하다가 사망했으며, 와카에 능하여 『풍아와카집』을 편찬하는 등 문화적 업적을 남겼다. - 1290년 출생 - 이사벨 드 프랑스 왕녀
프랑스 왕 필리프 4세와 나바라 여왕 잔 1세의 딸인 이사벨 드 프랑스 왕녀는 잉글랜드 왕비가 되어 남편의 총신들과 갈등하고 귀족들과 반목했으며, 로저 모티머와 연합하여 잉글랜드를 침공해 아들 에드워드 3세의 섭정으로 4년간 통치했다. - 1290년 출생 - 구이도 곤차가
구이도 곤차가는 1328년 만토바와 레조 에밀리아의 포데스타로 선출되었고, 1335년 레조 에밀리아의 군주가 되었으며, 1360년에는 만토바의 카피타노 델 포포로가 되었으나 1369년에 사망하고 루도비코 2세 곤차가가 그의 뒤를 이었다.
가자 마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작위 | 마하파티 |
국가 | 마자파히트 제국 |
재임 시작 | 1331년 |
재임 종료 | 1364년경 |
군주 | 자야나가라 트리부와나 위자야퉁가데위 하얌 우룩 |
주요 전투 | 사뎅 반란 라 쿠티 반란 베다훌루 전쟁 브레베스 전투 부밧 전투 파돔포 |
출생일 | 1290년경 |
사망일 | 1364년경 (74세) |
종교 | 샤이바 힌두교 |
개인 정보 | |
풀 네임 | 가자 마다 |
배우자 | 정보 없음 |
기타 | |
로마자 표기 | Gajah Mada |
2. 이름의 의미
"가자"(Gajah)는 '코끼리'를 뜻하며, 다른 동물들의 존경을 받는 큰 동물을 가리킨다. 힌두교 신화에서는 인드라 신의 바하나(탈것)로 여겨진다. 또한 코끼리는 인간의 몸에 코끼리 머리를 한 신인 가네샤(시바와 파르바티의 아들)와도 관련이 있다. "마다"(Mada)라는 단어는 고대 자바어(아마도 같은 의미를 가진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임)에서 "술 취한"을 의미한다. 코끼리가 술에 취하면 제멋대로 난폭하게 걸어 다니며 모든 장애물을 극복하는 모습에 비유된다. 따라서 가자 마다(Gajah Mada)라는 이름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부밧 전투'''
가자 마다는 1364년, 74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4] 하얌 우루크 왕은 가자 마다가 마하파티(mahapatih)로 재직하는 동안 축적한 권력이 한 사람이 감당하기에는 너무 크다고 판단했다. 이에 왕은 가자 마다의 책임을 네 개의 새로운 마하만트리(mahamantri, 부처에 해당) 직위로 나누어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려 했을 가능성이 있다. 현명한 지도자로 평가받는 하얌 우루크 왕은 가자 마다 재임 기간 동안 확보한 마자파히트(Majapahit)의 지역 패권을 유지했다. 그러나 하얌 우루크가 사망한 후 마자파히트는 점차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다.
# 그는 자신을 왕의 탈것, 즉 왕의 명령을 집행하는 자로 여겼는데, 이는 마치 코끼리 아이라바타가 인드라 신의 바하나가 된 것과 같다.
# 그는 왕국의 발전을 저해하는 여러 장애물에 직면했을 때, 마치 술에 취한 듯 난폭하게 이를 극복하는 인물이다. 이는 이름의 의미가 미리 고려되었음을 보여준다.
가자 마다 비문에는 "라크리얀 마파티흐 지르노다라"(Rakryan Mapatih Jirnnodhara)라는 또 다른 이름이 사용되었다. 이 이름은 가자 마다의 칭호일 수도 있지만, 공식 이름으로 볼 수도 있다. "지르노다라"(Jirnnodhara)라는 단어의 의미는 "새로운 것을 건설하는 자" 또는 "무너진 것을 복구하는 자"이다.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가자 마다는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크르타네가라를 위한 차이티야(사리탑)를 건설한 사람이다. 비유적으로는 누산타라(Dwipantara) 만달라 개념에서 크르타네가라의 사상을 복구하고 계승한 인물로 볼 수 있다.
3. 권력 장악 과정
가자 마다의 초기 삶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평범한 집안 출신으로 추정된다. 초기 기록에 따르면 그는 마자파힛 왕과 왕족을 보호하는 정예 왕실 근위대인 ''바양카라''의 지휘관으로 경력을 시작했다.
1321년, 마자파힛의 관리 라크리안 쿠티가 자야네가라 왕(재위 1309년~1328년)에게 반란을 일으켰을 때, 가자 마다는 당시 마하파티흐였던 아리아 타다와 함께 왕과 왕족을 수도 트로울란에서 탈출시켜 구출했다. 이후 가자 마다는 왕이 수도로 돌아와 반란을 진압하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7년 뒤인 1328년, 자야네가라 왕은 라크리안 쿠티의 협력자였던 궁정 의사 라크리안 탄차에게 살해당했다.
다른 기록에서는 1328년 가자 마다가 자야네가라 왕 암살에 관여했다고 보기도 한다. 자야네가라 왕은 커르타라자사의 막내 왕비 디야흐 데위 가야트리 소생인 두 이복 누이를 지나치게 통제했는데, 이들의 불만이 가자 마다의 개입을 불렀다는 것이다. 이 설에 따르면, 가자 마다는 외과의사를 시켜 수술을 가장하여 왕을 살해하도록 계획했다.
자야네가라의 뒤를 이어 이복 여동생인 트리부와나 위자야퉁가데위(재위 1328년~1350년)가 왕위에 올랐다. 그녀가 즉위했을 때 사뎅과 케타 지역에서 사절단을 보내지 않아 반란의 조짐으로 여겨졌고, 이후 트리부와나의 첩보를 통해 두 지역이 실제로 반란을 준비 중임이 확인되었다. 사뎅과 케타는 과거 마자파힛에 정복되었던 해안 지역이었으며, 1316년 지역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파티흐 난비의 죽음 역시 반란의 한 원인이었다. 당시 사뎅 지역은 유명한 마자파힛 장군 위로타 위라간티가 이끌고 있었다.
가자 마다는 아직 파티흐 직위에 있었는데, 1331년 병든 마하파티흐 아리아 타다의 추천으로 트리부와나 여왕에 의해 반란 세력과의 협상 임무를 맡게 되었다. 하지만 가자 마다의 경쟁자였던 마자파힛 장군 라 켐바르가 먼저 군대를 이끌고 도착하여 두 지역의 반란을 진압했다. 라 켐바르의 부하인 자붕 타레웨스, 렘부 페텅, 이칼-이칼란 방도는 난비 살해에도 연루된 인물들이었다.[13]
이 사건으로 가자 마다와 라 켐바르의 군대 사이에 갈등이 생겼으나, 트리부와나 여왕이 직접 군대를 이끌고 반란 지역 진압에 나서면서 갈등은 일단락되었다. 아리아 타다가 은퇴한 후, 가자 마다는 1334년 마하파티흐로 임명되었다.[14] 가자 마다가 마하파티흐로 재임하던 시기인 1345년경에는 유명한 무슬림 여행가 이븐 바투타가 수마트라를 방문하기도 했다.
4. 팔라파 선서와 제국 확장
트리부와나퉁가데위 여왕 치하에서 마하파티에 임명되었을 때, 가자 마다는 유명한 팔라파 선서(Sumpah Palapa)를 했다고 전해진다. 이 선서는 15세기 또는 16세기에 쓰인 자바 역사 서술서인 파라라톤(왕들의 책)에 기록되어 있다.[6]
> 시라 가자 마다파티 아망쿠부미 탄 아윤 아묵티 팔라파, 시라 가자 마다: "람룬 후우스 칼라 누산타라 이순 아묵티 팔라파, 람룬 칼라 링 구룬, 링 세람, 탄중푸라, 링 하루, 링 파항, 돔포, 링 발리, 순다, 팔렘방, 투마식, 사마나 이순 아묵티 팔라파".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 [결국] 가자 마다는 파티 망쿠부미가 되었지만, 아묵티 팔라파를 하기를 원하지 않았다. 가자 마다는 [맹세했다], "만약 내가 누산타라 제도를 정복한다면, 나는 아묵티 팔라파를 할 것이다. 만약 구룬, 세람, 탄중푸라, 하루, 파항, 돔포, 발리, 순다, 팔렘방, 테마섹(싱가포르)을 정복한다면, 나는 아묵티 팔라파를 할 것이다."
페트루스 요하네스 족트물더는 '아묵티 팔라파'를 "모든 것을 취할 수 있는 상태를 누림" 또는 간단히 "즐거움을 누림"으로 정의하는 반면, 슬라멧 뮬자나는 "휴식을 누림"을 의미한다고 말한다.[6]
가장 친한 친구들조차 처음에는 그의 맹세를 의심했지만, 가자 마다는 마자파힛의 영광 아래 누산타라를 통일하려는 꿈을 계속 추구했다. 곧 그는 주변 지역인 베다훌루(발리)와 롬복(1343년)을 정복했다. 그런 다음 서쪽으로 해군을 파견하여 탈라소크라시 왕국인 스리비자야의 잔당을 팔렘방에서 공격했다. 그는 그곳에 마자파힛 왕자 아디탸와르만을 서수마트라의 미낭카바우족의 속국 통치자로 임명했다.
그런 다음 그는 동남아시아 최초의 이슬람 술탄국인 사무드라 파사이와 스바르나드위파(수마트라)의 또 다른 국가를 정복했다. 가자 마다는 또한 빈탄, 투마식(싱가포르), 말라유(현재는 자엠비로 알려짐), 칼리만탄을 정복했다.
트리부와나퉁가데위 여왕이 퇴위하자 그녀의 아들인 하얌 우룩(1350년~1389년 통치)이 왕이 되었다. 가자 마다는 새 왕 아래에서도 마하파티 직위를 유지하며 군사 작전을 계속했다. 그는 로가자, 구룬, 세람, 후탄카달리, 사삭, 부톤, 방가이, 쿠니르, 갈리얀, 살라야르, 숨바, 무아르(사파루아), 솔로르, 비마, 완단(반다), 암본, 티모르, 돔포 등으로 동쪽으로 제국을 확장했다.
이를 통해 그는 현대 인도네시아 제도를 마자파힛의 지배하에 효과적으로 편입시켰다. 이는 오늘날 인도네시아 영토뿐만 아니라 테마섹(역사적인 싱가포르의 이름)과 현대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남부 필리핀, 동티모르의 일부 지역까지 포함하는 광대한 영역이었다.
1273 사카(서기 1351년)로 연대가 기록된 가자 마다 비석에 따르면, 웨삭하 달에 상 마하만트리무크야 라크리얀 마파티 푸 마다(가자 마다)는 1214 사카(서기 1292년) 즈예스타 달에 사망한 고 파두카 바타라 상 루마 리 시와 불다(케르타네가라 왕)를 위해 봉헌된 차이티야의 성스러운 건물을 창조하고 개관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이 비석은 동자바 말랑의 싱고사리 읍에서 발견되었으며, 고대 자바어로 쓰여졌다. 비석에 언급된 '차이티야' 또는 사원은 아마도 싱가사리 사원일 것으로 추정된다. 가자 마다가 싱가사리의 케르타네가라 왕에게 보인 특별한 존경심은 마하파티가 고왕을 매우 존경했으며, 두 사람 사이에 어떤 관련이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일부 역사가들은 케르타네가라가 가자 마다의 조부였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한다.[15]
5. 부밧 전투 (1357년)
1357년 당시, 서자바의 순다는 마자파힛 제국의 패권을 인정하지 않은 유일한 이웃 국가였다. 마자파힛의 하얌 우르크 왕은 순다 왕의 딸인 디아흐 피탈로카 치트라레스미 공주와 혼인하고자 했다. 가자 마다는 트로울란 북쪽의 ''부밧'' 광장에서 공주와 그의 아버지, 그리고 순다 왕국의 사절단을 맞이하는 임무를 맡았다.
가자 마다는 이 기회를 이용하여 순다 왕국에 마자파힛 제국에 대한 복종을 요구했다. 순다 왕은 이 결혼이 두 왕국 간의 새로운 동맹을 의미한다고 생각했으나, 가자 마다는 다른 의도를 가지고 있었다. 그는 순다 공주가 마자파힛의 왕비로서 동등하게 환영받는 것이 아니라, 순다 왕국이 마자파힛에 복종한다는 상징으로서 측실로 취급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가자 마다의 요구는 순다 왕족에게 큰 모욕감을 주었으며, 양측의 오해와 적대감은 결국 부밧 전투라는 비극적인 사건으로 번졌다. 압도적인 마자파힛 군대에 의해 순다 왕과 그의 모든 수행원, 왕족들은 부밧 광장에서 몰살당했다. 깊은 슬픔에 빠진 디아흐 피탈로카 공주는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고 전해진다.
하얌 우르크 왕은 이 참혹한 사건에 큰 충격을 받았다. 마자파힛의 신하들과 귀족들은 가자 마다의 무모한 행동과 그로 인한 잔혹한 결과를 강하게 비난했다. 결국 가자 마다는 이 사건의 책임을 지고 실각하여 동자바 프로볼링고 근처의 마다카리푸라 영지에서 남은 생을 보내게 되었다.
6. 죽음과 유산
가자 마다의 통치는 힌두교의 확산과 산스크리트화를 통해 자바 문화의 인도화를 더욱 심화시키는 데 기여했다.[4][7]
발리 갬얄르(Gamyar)의 블라바투(Blahbatuh) 왕가는 지난 600년 동안 가자 마다의 가면 무용극을 의례적으로 공연해왔다. 이 가면은 소중히 보존되며, 세계를 통합하고 조화를 이루는 상징으로서 몇 년에 한 번씩 공연에 사용된다. 이 신성한 의식은 발리에 평화를 가져오기 위한 염원을 담고 있다.[16]
가자 마다의 유산은 인도네시아 민족주의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20세기 초 인도네시아 민족주의 운동 시기에 그의 업적이 자주 인용되었다. 특히 일본의 침략 이전 민족주의자였던 수카르노와 모하마드 야민은 가자 마다의 선서와 나가라크르타가마를 인도네시아 과거의 영광과 통일 가능성을 보여주는 역사적 증거로 강조했다. 광대한 영토와 다양한 문화를 가진 인도네시아 군도를 마자파히트의 영향력 아래 통합한 가자 마다의 활동은, 네덜란드 식민 지배 이전에 이미 고대 형태의 통일 국가가 존재했다는 민족주의자들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되었다.[17] 이러한 이유로 가자 마다는 네덜란드 식민 지배에 맞서 독립을 쟁취하려 했던 인도네시아 독립혁명 시기에 큰 영감을 주는 인물이었다.
1942년 당시 고등 교육을 받은 인도네시아 원주민은 230명에 불과했다. 인도네시아 공화파는 교육 기회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자 최초의 국립 대학교 설립을 추진했으며, 이 대학은 원주민(''프리부미'')에게 문호를 개방했다. 욕야카르타에 세워진 가자 마다 대학교는 가자 마다를 기리기 위해 1945년에 완공되었고, 원주민에게 자유롭게 개방된 최초의 의과대학이라는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18][19][20]
1976년 7월 9일에 발사된 인도네시아 최초의 통신 위성은 '사텔리트 팔라파'(''Satelit Palapa'')로 명명되었다. 이는 광대한 군도 국가를 하나로 묶는 가자 마다의 팔라파 선서 정신을 상징한다.
인도네시아 육군의 육군 군사경찰단은 가자 마다를 부대 상징으로 채택했으며, 부대 상징에는 그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인도네시아 여러 도시에는 가자 마다 가와 가얌 우룩 가와 같이 그의 이름을 딴 거리가 있으며, 그의 이름을 딴 배드민턴 셔틀콕 브랜드도 존재한다.
7. 외모 묘사 논란
현대에 알려진 가자 마다의 모습은 대부분 1945년 모하마드 야민이 저술한 책 『가자 마다: 누산타라 통일의 영웅』에서 비롯된 상상에 기반한다. 1940년대 어느 날, 야민은 마자파힛 왕국의 옛 수도였던 트로울란을 방문하여 여러 테라코타 조각을 발견했다. 그중 땅딸막한 얼굴과 곱슬머리를 한 남자의 얼굴 모양 돼지 저금통을 보고, 야민은 이것이 군도를 통일한 가자 마다의 얼굴이라고 해석했다. 이후 화가 헨크 난퉁에게 이 테라코타 조각을 바탕으로 그림을 그리도록 요청했고, 이 그림은 야민의 책 표지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야민의 해석에 동의하지 않는다. 가자 마다처럼 중요한 인물의 얼굴을 돼지 저금통에 새기는 것은 당시 힌두교-불교 시대, 특히 마자파힛 시대의 관습에 맞지 않으며 모욕으로 여겨질 수 있다는 것이다. 당시 국가 지도자들은 일반적으로 조각상 형태로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심지어 그 얼굴이 야민 자신의 얼굴이라는 주장도 있다.[9]
인도네시아 대학교의 고고학자 아구스 아리스 무난다르는 야민의 묘사와 다른 해석을 내놓았다. 그는 가자 마다가 와양 그림자 인형극에서 가로로 난 콧수염을 가진 비마로 묘사되었다고 해석했다.[10] 대중적인 묘사에서 가자 마다는 흔히 상반신을 드러낸 채 사롱을 입고 크리스 형태의 무기를 사용하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이는 민간 업무 시의 모습일 수 있으나,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달랐을 가능성이 있다. 키둥 순다야나에 묘사된 순다 방식의 ''파티''에 따르면, 가자 마다는 금박을 새긴 ''카람발란간''(흉갑)을 착용하고 금으로 도금된 창과 다이아몬드가 박힌 방패를 들고 있었다.[11][12]
무난다르에 따르면, 처음에 가자 마다는 판지 이야기의 브라자나타 캐릭터로, 후대에는 ''마하바라타''의 비마로 묘사되었다. 판지 이야기는 비마 조각상 제작 활동보다 먼저 알려졌기 때문에(비마 조각상 제작은 15세기 중반에 시작된 것으로 보임) 전자가 가자 마다의 원래 모습일 가능성이 높다. 1단계에서 가자 마다의 찬양은 세속적이다. 브라자나타로 묘사되는 형태이지만, 그 후 2단계에서 가자 마다의 찬양은 더욱 신성한 것으로 변화하며, 시바의 한 측면인 비마와 동일시된다. 인도네시아 국립박물관(No. 5136/310d)에서 발견된 조각상에서는 튼튼한 체격, 가로로 난 콧수염, 물결치는 곱슬머리, 머리 꼭대기에는 ''테케스'' 모자처럼 생긴 리본이 달린 머리띠를 하고 있다. 그는 옷과 장신구, 팔찌, 뱀 모양의 비마의 상완 팔찌를 착용하고 있다.
가자 마다와 관련된 전통적인 비마 조각상 묘사는 15세기 중반 마자파힛 말기에 만들어졌다. 특징은 다음과 같다. a) ''수핏 우랑'' 왕관을 쓰고 있다(머리카락이 새우집게처럼 머리 꼭대기에 두 개의 아치형으로 뻗어 있다), b) 가로로 난 콧수염, c) 튼튼한 체격, d) ''폴렝''(흑백) 천을 입고 있다, e) 음경이 항상 돌출되어 묘사되어 있다. 국립박물관(No. 2776/286b)에 소장된 비마상에서는 그는 양손을 옆구리에 대고 똑바로 서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으며, 오른손에는 ''가다''(일종의 곤봉)를 들고 있다. 음경은 돌출되어 있고 다리 사이에는 숄이 걸쳐져 있으며, 뱀 모양의 ''우파비타'', ''수핏'' ''우랑'' 왕관, 험악한 표정, 굵은 가로 콧수염을 하고 있으며, 이마 위의 머리카락은 곱슬거리며 ''자망''(이마 장식)을 형성하고 있다. 가자 마다의 화신인 브라자나타상과 비마상의 유사성은 우연이 아니며, 역사적 사건과 후대의 숭배자들 사이의 거리와 함께 발전하는 근본적인 개념이 있다.
8. 대중문화
참조
[1]
harvard
[2]
text
[3]
text
[4]
서적
The Indian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5]
웹사이트
Sumpah Palapa Cikal Bakal Gagasan NKRI
http://digilib.pnri.[...]
Perpustakaan Nasional Republik Indonesia
2004-01-01
[6]
서적
Pararaton: Biografi Para Raja Singhasari–Majapahit
Javanica
[7]
서적
Encyclopedia of Global Religion
https://books.google[...]
[8]
웹사이트
Majapahit Story : The History of Gajah Mada
http://www.eastjava.[...]
2017-01-07
[9]
서적
Hikayat Majapahit - Kebangkitan dan Keruntuhan Kerajaan Terbesar di Nusantara
Elex Media Komputindo
[10]
뉴스
Sejarawan: Wajah Gajah Mada Karya M Yamin Pertama Ada Tahun 1945
https://news.detik.c[...]
2015-12-29
[11]
서적
Kidung Sundāyana (Kidung Sunda C)
Drukkerij “De Bliksem”
[12]
웹사이트
The Golden Armor of Gajah Mada
https://www.nusantar[...]
2018-08-06
[13]
웹사이트
Dyah Gitarja Nama Kecil Ratu Tribhuwana Tunggadewi yang Turun Langsung Tumpas Pemberontakan Sedeng-Keta
https://daerah.sindo[...]
2021-10-17
[14]
웹사이트
Pemberontakan Sadeng dan Keta Halaman all
https://www.kompas.c[...]
2021-08-05
[15]
웹사이트
Siapa Sebenarnya Kakek Gajah Mada?
https://historia.id/[...]
2017-04-30
[16]
뉴스
The mask of unity
http://www.thejakart[...]
2010-06-16
[17]
학술지
The Borderlands of Southeast Asia Chapter 2: Archaeology, National Histories, and National Borders in Southeast Asia
http://mercury.ethz.[...]
[18]
서적
The Oxford illustrated companion to medicine - Oxford Companions Series-Oxford reference 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US
[19]
서적
Volume 18 of Springer international handbooks of education: International handbook of higher education, Volume 1
Springer
[20]
서적
Volume 51 of Historical dictionaries of Asia, Oceania, and the Middle East: Historical dictionary of Indonesia
Scarecrow Press
[21]
서적
The Indian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